현재 나의 서버는 N40L, 성능으로 따지자면 썩 좋은 성능은 아니다.
그러한 서버에 여러 서비스를 운영하기에 속도가 정말 느리다.
서버를 바꾸려고 마음먹고 있는데 여유가 나지 않는다.
(구글 광고 에드센스를 달았는데 클릭하는 수도 상당히 적고..ㅠ)
이번팁은 여러 팁중에 최소한의 노력으로 좋은 성능을 뽑을수 있는 팁이다.
이 글의 주 포인트는 웹 최적화, 브라우저 캐시, mod pagespeed 설치이며
순서대로 진행 할 예정이다.
기준은 Apache, 그럼 팁을 공개 한다.
최적화
먼저 우리가 가장 중요시 봐야 할 것은 기본적인 웹의 최적화 이다.
구글의 웹사이트 분석 페이지 [링크]로 접속 하여보자.
위와 같은 페이지가 하나 등장 할 것이다.
여기에 자신의 사이트를 입력한다.
그리고 분석 버튼을 클릭 한다.
분석이 끝나면 모바일과 일반 데스크톱 페이지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크게는 꼭 수정해야 할 것과, 고려 사항, 통과 부분에 대해 적혀 있다.
다른건 가능한 고려 사항까지 같이 수정해야 하는데,
웹의 이미지 사이즈 라던가 스크립트, 압축 필요성 등의 분석 내용이 적혀 있다.
티스토리나 이런 블로그에선 불가능하지만 개인이 제작한 사이트나
워드 프레스 등 설치형 사이트에선 수정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점에 대해선 각 사이트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따로 다루진 않겠다.
주제에 대해 검색해보면 좋은 팁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브라우저 캐시
부라우저 캐시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를 할 수 있다.
먼저 httpd.conf를 열자(CentOS 7.x기준으로 httpd.의 경로 /etc/httpd/conf/httpd.conf)
이후 하단 내용을 추가 한다.
ExpiresActive On ExpiresByType application/javascript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text/javascript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text/x-javascript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application/x-javascript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text/css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image/jpg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image/jpeg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image/gif "access plus 1 month" ExpiresByType image/png "access plus 1 month"
저장 후에 아파치를 리스타트 해주면 된다.
mod pagespeed 설치
구글에서 어느새 완성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는 mod speed
웹 요청시 분석후 최적화를 시켜 뿌려주는 재미있는 모듈인다.
먼저 사이트에 접속 한다 [링크]
그후 자신의 서비스에 맞는 모듈로 접속한다.
예는 내 기준인 아파치로 들겠다.
설치를 해보자.
# 'at' 패키지를 설치 안했을경우 설치 $ sudo yum install at $ sudo rpm -U mod-pagespeed-*.rpm
아파치를 재시작 해주면 끝이 난다.
확인은 모듈이 작동 되있는지 보고 사이트를 분석 해보면 된다.
$ httpd -M Loaded Modules: core_module (static) so_module (static) http_module (static) ... cgi_module (shared) php5_module (shared) pagespeed_module (shared)
이로서 최적화가 모두 끝나고, 자신의 웹 사이트의 체감 속도가 올라간 것을 느낄 것이다.
이 간단한 세 가지 만으로도 웹사이트의 속도를 충분히 끌어 올릴 수 있다.
사이트 속도 만으로 많은 고민이 있다면 참고하여 설정해보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
댓글 남기기